2024 회고, 새로운 페이즈2
2021년 터널을 지나고, 2022년 신입으로 입사, 2023년 결혼, 2024년 이직이라는 인생에 굵직한 결정을 하면서 1년씩을 보냈다.
과정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졌지만, 쉬운 것은 없었다. 하지만 부정적인 상황이 와도 곧 긍정적인 상황이 오려는 신호로써 단순히 여기면서 피드백할 것은 하고 지나갔던 것 같다. 실제로 그게 이뤄진 것이 많았다.
얼마 전에는 예전부터 알고 지내 온 해외대학 Information System 교수님과 온라인 미팅을 했다. 인과추론과 관련해서 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법이 있는지 뿐만 아니라 최근 인과추론과 그에 관련된 A/B 테스트의 연구 흐름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추후에 혹시나 업무적으로 연구에 협업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커넥션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이 시간 이후에 나의 업무를 확실히 알고 진행하고, 누군가에게 잘 설명할 수 있도록 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데이터 분석가로서
신입으로 입사한 이직 전 회사에서 이직을 결심한 이유는 분석가로서의 커리어 고민부터 출발했다. 이전 팀에서 BI를 하면서 배웠던 데이터 웨어하우스 엔지니어링이나 마트 구성 방법 등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압축 성장을 했다.
이 와중에 나의 분석에 인사이트를 주고 싶었고, 이를 위해 추출 결과 이외에 분석을 시도했다. 추가적인 분석을 전했을 때 물론 부족한 실력이 있었지만, 깨달은 점이 있었다면 분석 전후에 실무자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었다. 나는 이 부분을 참 좋아했던 것 같다. 그래서 분석이 결정적이고 격정적(?)일수록 더 집중력을 쏟을 수 있었고, 흥미도 더 느꼈던 것 같다.
첫 이직을 했다
2024년은 이직 준비로 시작했고, 약 1년 끝에 원하는 곳에 삼수를 하며 이직을 할 수 있었다. 결국 내가 통한다는 자신감은 있었지만, 이런 자신감이 중간에 흐릿해진 적이 분명히 있었다. 그럴 때마다 그간 증명하며 쌓아온 내 포트폴리오와 그 외에 몇 가지를 피드백하며 더 단단해지려고 했다.
내가 소속된 팀은 내가 전달한 데이터 분석 인사이트가 곧바로 업데이트에 반영될 수 있는 라이브 조직이다. 이에따른 부담감을 있을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부담감을 가지고 더 나은 분석 결과를 낼 수 있으면 좋은 게 좋은 것 아닐까? 능동적으로 아젠다를 찾기도 하고, 꼭 필요한 팀으로부터의 니즈로 인한 분석을 진행해 볼 생각에 설레는 마음이 있다.
그리고 변화한 생활환경
이직 후 출퇴근 시간이 아주 짧아졌다. 거의 절반의 시간을 세이브하게 되었는데, 나는 아침잠이 별로 없긴 하지만 심리적으로 오는 안정감이 훨씬 와닿았다. 짧아진 거리는 퇴근을 할 때 더 메리트가 있는데, 간혹 늦게 퇴근하는 날에도 퇴근 후 시간이 부담 없었다. 특히, 퇴근 후에 아내와 함께 식사하는 시간이 더 많아져서 좋다.
곧이어 1월에 나의 새집으로 이사를 가게 된다. 새집이라 이것저것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았지만 어느새 다른 세대들부터 입주가 시작됐다. 새 집에 대한 적응과 더불어 새 직장에서 새로운 업무에 대한 적응을 하며 25년도 빠르게 흘러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후 2025년을 맞이하며 : 적응
2024년에는 이직뿐만 아니라 글또에서 모임파트 운영진을 하면서 가장 큰 과업인 반상회도 성황리에 마쳤다. 앞으로 2~3개 반상회가 더 남아있지만 이번과 같이 우리는 또 잘 해낼 것이다. 글또의 마지막 기수에서 운영진으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 행운이라는 생각도 든다.
올 한해는 큰 변화 이후에 당분간 '적응'을 키워드로 지내볼까 한다. 뿐만 아니라 진행하고 있는 멘토링에 관해서도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글로 옮길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