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BI데이터는 어떤 식으로 보일까? 1. 데이터 정합성 보통 게임사에서 게임 데이터의 경우에는 정합성이 미리 검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로그, 게임 DB에 쌓인 데이터를 각 파이프라인에 따라 데이터셋에 적재가 된다. 동접이나 매출 등 실시간으로 보면 의미가 있는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보기도 하지만, BI 대시보드에서 지난 시간, 지난날의 추세를 보는 것이 의미가 있기 때문에 시간별/일별 배치를 통해 각 테이블에 적재하도록 한다. 반면, 블록체인 데이터의 경우에는 위 흐름으로 데이터를 쌓기보다는 address라는 '지갑주소'가 누구에게나 볼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고, 주소에 1대 1 대응으로 데이터를 확인하여 거래, 토큰 교환 등의 유저의 현황을 보는 방식이다. 위 ERD만 보면 ODS 테이블을 만들..